System Engineering

2024년 산업기술 동향: 생성형 AI, 반도체, 자율주행 그리고 정책 변화

habana4 2024. 8. 13. 00:50
반응형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에서 제공하는 2024년 산업기술 동향 자료가 업로드 되었습니다.

다음은 산업기술 동향 2024년 13호 (2024.08.07)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24년 산업기술 동향을 한눈에 살펴보면, 전 세계적으로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급격한 변화와 발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주요 산업과 기술 동향, 그리고 정책적 움직임을 종합하여 전달드립니다.

1. 생성형 AI의 기업 활용 확대

Bain & Company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초 기준으로 전 세계 기업의 87%가 생성형 AI를 개발하거나 일부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기업들은 연간 약 5,000만 달러를 투자할 만큼 생성형 AI의 비즈니스 가치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업들이 AI 도입을 주저하는 이유로는 기술 플랫폼 준비도 부족, 사내 전문성 부족, 그리고 ROI에 대한 불확실성이 꼽히고 있습니다. 생성형 AI는 소프트웨어 개발, 고객 서비스, 마케팅 등에서는 큰 성과를 내고 있지만, 법무나 인사 분야에서는 아직 미미한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산업기술동향(KIAT) 2024년 13호

 

출처: 산업기술동향(KIAT) 2024년 13호

2. 반도체 첨단 패키지 기술의 미래

KPMG의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기술은 AI와 데이터 처리량 증가로 인해 새로운 패키징 기술 개발이 시급합니다. 기존의 와이어 본딩 방식에서 벗어나, 플립칩 방식의 FC-BGA가 데이터센터 패키징의 주류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2.5D와 3D 패키징 기술은 AI 서버를 위한 고성능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이며, 향후 양자 기술 및 5G와 같은 혁신 분야로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자율주행 상업 서비스의 실현 가능성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됨에 따라, 중국, 일본, 미국이 선도적으로 자율주행 상업 서비스를 도입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지원 하에 빠르게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미국과 일본도 이에 뒤지지 않기 위해 인프라 구축 및 법적 제도 마련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들 국가에서는 2030년까지 자율주행 서비스가 상업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출처: 산업기술동향(KIAT) 2024년 13호

4. 대만의 AI 시장 경쟁력

대만은 반도체 생산과 첨단 제조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AI 시장에서의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TSMC는 3nm 공정 기술로 반도체 생산을 시작했으며, 2025년까지 2nm 공정 기술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대만은 AI 서버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간 AI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5. 글로벌 정책 동향

미국, EU,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포용적 혁신을 위한 국가 전략을 통해 사회적 소외 계층의 STEM 참여를 장려하고 있으며, EU는 핵심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검토 중입니다. 일본은 모빌리티 로드맵 2024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의 상업화를 추진하고, 지속적인 혁신 창출을 위한 종합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결론

2024년은 생성형 AI, 반도체 패키징, 자율주행 기술 등 다양한 첨단 기술 분야에서 혁신이 가속화되는 한 해가 될 것입니다. 또한, 주요 국가들은 이러한 기술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향후 글로벌 경쟁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2024년의 기술 및 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각 산업 분야에서의 변화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