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ystem Engineering 70

사용자 만족을 위한 자동차 제어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개발 - Kano 모델 활용

1. 자동차 제어 소프트웨어, 무엇이 사용자를 만족시키는가?요즘 자동차를 떠올리면 단순히 이동수단이라는 말로는 설명이 부족합니다. 스마트폰처럼 똑똑해진 네비게이션, 운전자 없이 스스로 멈추고 가는 크루즈 기능, 부드럽게 연결되는 전기 모터의 가속감까지. 이 모든 것 뒤에는 복잡하고 정교한 자동차 제어 소프트웨어가 숨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복잡한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에게 ‘좋다’, ‘편하다’는 느낌을 주는 건 어떤 순간일까요? 기본 기능이 잘 작동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이 차 괜찮네!“라고 느끼는 건, 기대한 것보다 더 부드럽게 반응하거나, 생각지도 못했던 편리함을 느꼈을 때입니다. 예를 들어, 가속 페달을 밟았을 때 원하는 만큼 자연스럽게 반응하거나, 주차 보조 기능이 매끄럽..

INCOSE 요구사항 작성 가이드(GWR): Singlular - 단일성 (C5)

요구사항(Requirement)은 시스템 개발 및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제품이나 시스템이 기대하는 기능과 성능을 충족하도록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잘 정의된 요구사항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 시스템 공학 협회(INCOSE, International Council on Systems Engineering)에서 발행한 “Guide to Writing Requirements”는 요구사항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며, 요구사항이 가져야 할 여러 가지 중요한 특징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단일성(Singluar)”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스템 설계에서 요구사항이 갖추어야 할 사항을 모두 정의되어야 ..

INCOSE 요구사항 작성 가이드(GWR): Complete - 완전성 (C4)

요구사항(Requirement)은 시스템 개발 및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제품이나 시스템이 기대하는 기능과 성능을 충족하도록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잘 정의된 요구사항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 시스템 공학 협회(INCOSE, International Council on Systems Engineering)에서 발행한 “Guide to Writing Requirements”는 요구사항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며, 요구사항이 가져야 할 여러 가지 중요한 특징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완전성(Complete)”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스템 설계에서 요구사항이 갖추어야 할 사항을 모두 정의되어야 ..

INCOSE 요구사항 작성 가이드(GWR): Unambiguous - 비모호성 (C3)

요구사항(Requirement)은 시스템 개발 및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제품이나 시스템이 기대하는 기능과 성능을 충족하도록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잘 정의된 요구사항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 시스템 공학 협회(INCOSE, International Council on Systems Engineering)에서 발행한 “Guide to Writing Requirements”는 요구사항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며, 요구사항이 가져야 할 여러 가지 중요한 특징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비모호성(Unambihuous)”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스템 설계에서 요구사항이 모호한 사항이 없어야 한다는 ..

INCOSE 요구사항 작성 가이드(GWR): Appropriate- 적절성 (C2)

요구사항(Requirement)은 시스템 개발 및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제품이나 시스템이 기대하는 기능과 성능을 충족하도록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잘 정의된 요구사항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 시스템 공학 협회(INCOSE, International Council on Systems Engineering)에서 발행한 “Guide to Writing Requirements”는 요구사항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며, 요구사항이 가져야 할 여러 가지 중요한 특징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적절성(Appropriate)”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시스템 설계에서 요구사항이 적절한 수준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INCOSE 요구사항 작성 가이드(GWR): Necessary - 필수성 (C1)

요구사항(Requirement)은 시스템 개발 및 엔지니어링 과정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제품이나 시스템이 기대하는 기능과 성능을 충족하도록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잘 정의된 요구사항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이를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제 시스템 공학 협회(INCOSE, International Council on Systems Engineering)에서 발행한 “Guide to Writing Requirements”는 요구사항을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작성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며, 요구사항이 가져야 할 여러 가지 중요한 특징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필수성(Necessary)”은 모든 요구사항이 시스템의 목표 달성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만을 포함해야 한다는 원..

SDV 시대에 피할 수 없는 기술적 부채와의 동행

자동차 산업은 지금, 기계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Software-Defined Vehicle, SDV) 으로의 대전환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차량의 성능과 기능을 결정짓는 요소가 엔진과 변속기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인공지능(AI), 네트워크 연결성 등의 디지털 기술이 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과 혁신이 도입될 때마다 반드시 따라오는 그림자가 있습니다. 바로 기술적 부채(Technical Debt)입니다. SDV 전환 과정에서 빠른 시장 대응과 개발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단기적인 해결책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고, 이는 필연적으로 기술적 부채를 발생시킵니다. 그러나 기술적 부채를 단순히 코드 품질 저하나 개발 속도의 문제로만 본다면, 그 위험성을 간과하는 것입니다...

System Engineering 2025.02.22

STPA: 시스템 안전분석 - (4) 손실(Loss) 시나리오 식별

시스템 안전 분석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현대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와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고장 중심 접근법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제안된 STPA(System-Theoretic Process Analysis)는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와 제어 이론(Control Theory)을 기반으로 안전을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STPA의 단계별 절차와 그 특징, 그리고 이를 활용한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STPA의 단계별 절차STPA: 시스템 안전분석 - (1) 분석 목적 정의STPA: 시스템 안전분석 - (2) 컨트롤 스트럭처 모델링STPA: 시스템 ..

STPA: 시스템 안전분석 - (3) Unsafe Control Action(UCA) 식별

시스템 안전 분석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현대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와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고장 중심 접근법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제안된 STPA(System-Theoretic Process Analysis)는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와 제어 이론(Control Theory)을 기반으로 안전을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STPA의 단계별 절차와 그 특징, 그리고 이를 활용한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STPA의 단계별 절차STPA: 시스템 안전분석 - (1) 분석 목적 정의STPA: 시스템 안전분석 - (2) 컨트롤 스트럭처 모델링STPA: 시스템 안..

STPA: 시스템 안전분석 - (2) 컨트롤 스트럭처 모델링

시스템 안전 분석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현대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과제가 되었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와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고장 중심 접근법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제안된 STPA(System-Theoretic Process Analysis)는 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와 제어 이론(Control Theory)을 기반으로 안전을 분석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STPA의 단계별 절차와 그 특징, 그리고 이를 활용한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STPA의 단계별 절차STPA: 시스템 안전분석 - (1) 분석 목적 정의STPA: 시스템 안전분석 - (2) 컨트롤 스트럭처 모델링 (현재 글)STPA..

반응형